간단한 리마인드

 

일반적인 개념보다 앞으로의 방향이 어떻게 되어갈 것인지에 대하여 궁금하여 조금 더 공부를 해보고자 한다. 

 

컨테이너의 미래는 어떻게 될까? 출처 maritime NZ

 

컨테이너는 어플리케이션, 라이브러리, 설정 등을 하나의 단일한 패키지로 묶어 격리된 환경에서 실행하는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기본적으로 컨테이너는 가상화 기술의 일종으로, 가상머신과 비슷한 목적을 가지고 있지만 그 실행 방식과 효율성 면에서 큰 차이를 보인다.

 

효율성면에서 큰 차이를 보인다-? 

이전에 VM 을 앱 배포에 채택하였던 구글 조상들의 고충은 뭐였을까.

 

가상머신은 운영체제와 함께 동작하는 풀 스택의 가상 환경을 제공하는데, 이로 인해 무겁고 느리게 동작하는 단점이 있었다. 반면에 컨테이너는 호스트 운영체제의 리소스를 효율적으로 활용하면서도 격리된 환경을 제공하여 가볍게 동작할 수 있도록 고안되었다. 아래 정리된 컨테이너의 장점을 보면 더 이해가 갈 것이다.

 

  • 격리(Isolation): 컨테이너는 각각이 독립된 환경에서 동작하기 때문에 한 컨테이너의 변화가 다른 컨테이너에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이는 애플리케이션 간 충돌을 방지하고 보다 안정적인 운영을 가능하게 한다.
    예시: 서로 다른 버전의 어플리케이션을 동시에 실행하거나 특정 환경에서의 실험을 위해 격리된 컨테이너를 사용할 수 있다.
  • 가상화(Virtualization): 컨테이너는 가상머신과 유사한 가상화 환경을 제공하지만, 가볍고 빠르게 실행됩니다. 이는 높은 성능과 빠른 배포를 가능케 하며, 여러 컨테이너를 동시에 실행할 수 있다.
    예시: 빠른 확장이 필요한 경우, 컨테이너를 사용하여 더 빠르게 새로운 인스턴스를 추가하고 활용할 수 있다.
  • 이식성(Portability):
  • 컨테이너는 실행 환경과 상관없이 동일하게 작동하므로, 개발 환경에서 테스트한 애플리케이션을 프로덕션 환경에 그대로 배포할 수 있다.
    예시: 로컬 환경에서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고, 동일한 컨테이너 이미지를 사용하여 클라우드나 다른 서버에 배포할 수 있다.
  • 자동화(Automation):
  • Docker와 같은 컨테이너 도구는 애플리케이션 빌드, 배포, 확장 등을 자동화하여 개발 및 운영 효율을 높인다.
    예시: 코드 수정 시 자동으로 빌드되고, 업데이트된 애플리케이션이 자동으로 배포되는 등의 작업이 자동으로 이루어진다.
  • 관리 및 오케스트레이션(Management and Orchestration):
  • 컨테이너 오케스트레이션 도구들은 여러 컨테이너를 효과적으로 관리하고 확장하는 데 사용된다.
    예시: Kubernetes는 컨테이너를 클러스터로 구성하여 효과적으로 관리하고, 필요에 따라 자동으로 확장하거나 축소할 수 있다.

 

이제 궁금했던 점으로.

 

컨테이너의 향후 방향은 어떻게 진행 되어가고 있을까?

 

 

AI 및 자동화의 통합 : 사실 이 문제는 컨테이너 뿐 아니라 클라우드 관리 전반에 걸쳐 영향을 미치지 싶다. 솔직히 말하면 개발이고 운영이고 인프라고 생태계 전체를 송두리째 바꿔놓을 것 같다.

 

나는 node 베이스의 개발자로 AI 에 대해 잘은 모른다.

 

web2vec을 활용한 python 엔진을 몇 차례 돌려 보았던 정도. 그래도 open-ai 에서 베타로 출시한 assistant 와 다양한 feature 들, 그리고 open-ai 의 최신 엔진은 나올때마다 계속해서 물고 뜯고 적용해보고 있다.

 

( 무지막지한 회사 프로젝트의 연속 덕분이다 )

 

그래봤자 까막눈 수준, 이러한 내가 보았을때도 open-ai 는 확실히 말도 안되는 데이터의 양과 AI 성능을 보여준다. hugging face 를 비롯하여 open source 로 git에 올라오는 엔진들의 수준에 비하면 그냥 경이로울 정도의 격차라고 생각한다. 일반인들이 생각하는 AI 현실화는 더 가속화되지 않을까 싶다. 실제로 open-ai 엄청나게 써대고 있으니까 더 빨라지지 않을까.

 

우리는 이제 끝났다.

 

다중 클라우드 및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지원 : 기업들은 고객 요구 사항 및 비용 효율성 등을 고려하여 여러 클라우드 환경을 동시에 활용하거나,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환경을 적용하려는 경향이 있다. 컨테이너는 환경 간 이식성이 뛰어나기 때문에 다중 클라우드 및 하이브리드 클라우드에서의 활용이 강조되어가고 있는 추세이다.

 

이미지 업로드 = 리소스 절감 이 공식처럼 되어버렸다.

아마 IT 기술에 대해 잘 모르는 대표들도 컨테이너로 배포하라는 말은 어디서 듣고와서 입에 달고 살지 않을까 싶다.

 

Container 와 전혀 무관한 사진이다.

 

서버리스 컨테이너 활용의 확대 : 서버리스 컨테이너 기술은 더욱 진화하여, 애플리케이션의 작은 부분들을 빠르게 실행하고 관리하는 데에 더 큰 중요성을 갖게 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한다. 마이크로 서비스 단위로 계속해서 쪼개지는 것이다. 사실 현재에도 잘 설계된 서비스들은 사용하는 양에 따라 리소스가 조정되고 매니징되고 컨테이너 별로 잘 나뉘어져 있다. 더 쪼갤 필요성이 없다는 것이다.

 

service 의 단위를 마냥 쪼개는 것이 효율적이지는 않을 것이다. 리소스는 절감되지만 사람은 살려달라고 소리를 지르게 되지 않을까. 그걸 모니터링 하는 건 결국 휴먼이니까. - 다만, AI가 적용된다면 이것 또한 새로운 이야기일 것이다. 그때는 Container 개념이 아니라 AWS의 Lambda 와 더 가까워지겠지..

 

 

 

 

컨테이너에 대한 리마인드,

끄적끄적 생각 끝. 

 

+ Recent posts